본문 바로가기
728x90

프로그래밍10

[SAS] 업무 시 유용한 매크로 변수 활용법 오늘은 업무를 진행할 때 유용한 몇가지 매크로 변수 활용법에 대해 포스팅하고자한다.1. %LET : 매크로 변수 정의%LET VAR1 = 100;    /*VAR1이라는 매크로 변수에 숫자 100을 할당*/%LET VAR2 = Name; /*VAR2라는 매크로 변수에 문자 Name을 할당*/%LET은 특정 값을 갖는 매크로 변수를 선언하는 문장이다. 예를 들어, 매달 월 별 매출에 대한 평균 계산 및 그래프 등을 산출하는 여러 구문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경우,모든 구문에서 '월'을 변경하는 것이 굉장히 번거로울 수 있다. 여기서 매크로 변수를 활용하면, 가장 상단의 MONTH를 원하는 달로 변경하여 연속되는 코드를 개별 수정 없이 효율적이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LET MONTH = 1;%LET D.. 2025. 1. 18.
[SAS 기초] Array를 통한 데이터 처리 오늘은 SAS에서 반복 작업을 수행하고자할 때 유용한 Array에 대해 공부해려고 한다.1. Array란?Array는 간단히 말해 '행렬'이다.동일한 유형(문자형 혹은 숫자형)의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처리할 수 있게하는 논리적 구조이며, 여러 변수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반복적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만들어준다. 2. Array 구문Array는 DATA step 안에서 활용이 가능하며, 기본적인 구문 형태는 다음과 같다.ARRAY _NAME_ [I,J] X1 - XJ;_NAME_ : Array 이름[I,J] : Array의 차원 (I행, J열)X1 - XJ : Array 내 각 열의 이름 (X1,X2,X3,...,XJ)💡헷갈릴 수 있는 포인트💡 ★ ARRAY 구문을 통해 2x3 다차원 Array를 생성할 .. 2024. 12. 14.
[SAS 자격증] SAS Advanced Programming 시험 합격자 후기 인터뷰 안녕하세요 블로그 주인장입니다. 오늘은 지난번 저의 SAS Base programming 시험 합격 후기에 이어서, Advanced Programming 합격자의 시험 후기를 들고왔습니다. 저랑 같이 일하는 동료가 이번에 Advanced 시험에 합격했거든요! (대단한 사람) 제 블로그에 방문하시는 분들이 SAS 프로그래밍과 자격증에 관심이 많으신 것 같아서,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인터뷰해보았습니다. Q1. 시험 합격 소감 A1. 일을 병행하면서 SAS Advanced programming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느라 많이 지치고 힘들었는데 합격하니 피로가 말끔히 풀리고 정말 기쁩니다. Q2. 시험을 준비하게 된 계기. A2. 통계 업무를 하면.. 2023. 7. 2.
[SAS 기초] 데이터 전치(PROC TRANSPOSE) 오늘은 SAS 데이터를 전치 할 수 있는 procedure인 PROC TRANSPOSE와 이 procedure에서 작동하는 option 3개에 대해서 살펴보려고한다. 1. 데이터 전치 데이터 전치란 말 그대로 기존 데이터의 가로와 세로의 위치를 바꾸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치라하면 행렬에서의 전치가 생각나는데, 오늘 살펴볼 PROC TRANSPOSE procedure은 단순하게 데이터를 전치 시킨다기보단 reshape 시킨다는 것에 더 가깝다. (R에서 melt나 dcast 등의 역할을 한다고 보는게 적절!) 기본적으로 PROC TRANSPOSE의 구문 용법은 아래와 같다. PROC TRANSPOSE DATA=라이브러리명.데이터명 OUT=라이브러리명.데이터명2; var 변수1; /*전치에 사용될 변수명*.. 2023. 6. 8.
표본 샘플링 방법(3) - 깁스 샘플링(Gibbs Sampling) 이번 포스팅에서는 베이지안에서 연구되었던 샘플링 방법 중 가장 이상적인(?) 샘플링 방법인 깁스 샘플링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 이전 포스팅- 2022.03.14 - [Statistics/Bayesian With Python] - 표본 샘플링 방법(1) - 기각 샘플링(Rejection Sampling) 표본 샘플링 방법(1) - 기각 샘플링(Rejection Sampling) Bayesian과 Frequentist들의 가장 큰 차이점은 모수, parameter에 대한 관점의 차이이다. Frequentist들은 모수 $\theta$를 Unknown constant로 가정하며, Bayesian은 모수 $\theta$를 Random variable로 가정한다.. harang3418.tistory.com 20.. 2023. 6. 1.
[SAS 기초] 반복문 DO 사용법 오늘은 SAS의 반복문 DO 구문을 살펴보겠다. R이나 Python에는 for, while, until, repeat 등등 다양한 반복문 명령어가 존재하지만, SAS는 DO 어쩌구~만 입력하면 반복문을 수행해준다. 오늘은 다양한 DO 구문을 활용하여 구구단을 만들어보겠다! 1. DO i=start TO end BY by; 먼저 살펴볼 DO 구문의 첫 번째 용법은 시작점과 끝점 그리고 증가분을 지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R과 Python등에서 사용되는 For문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 같다. DATA 데이터명; DO i = 초기값 TO 마지막값 BY 증가량; 반복시행문; OUTPUT; /* 반복시행 결과를 행으로 추가한다.*/ END; /* DO 구문을 종료하라는 명령어 - 반드시 DO 구문과 함께.. 2022. 5. 18.
320x100